안녕하세요 :) 오늘은 GitHub에서 Repository를 Public와 Private 이 둘을 서로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 정리하겠습니다! 저장소인 Repository를 관리하기 위해서 Public, Private 변경법은 기본으로 알아둬야겠죠!? 현재 위의 사진을 보면 Algorithm이라는 Repository(저장소)가 Public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. Public을 Private인 비공개로 전환해보겠습니다! 먼저, 위의 사진에서 Settings를 눌러 설정창으로 이동합니다. Settings를 클릭하면 해당 창이 보이는데 그대로 맨 아래쪽으로 스크롤 내리면 아래와 같이 Danger Zone이 보입니다. 여기서 첫 번째인 Change visibility 버튼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..
안녕하세요! 오늘은 git을 왜 사용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 느낀점, 사용하면서 알게된 사용법을 정리하고자 왔습니다 :) Git을 언제 사용하게 되었는지 처음 팀 프로젝트를 하면서 서로의 만들 페이지를 나누어서 하루마다 각자의 코드를 합쳐 진행해보자는 팀원들의 의견이 있었습니다. 하지만, 저는 이런 방식으로 협업을 진행하게 되었을 때 관리하기 어려울 것 같다는 생각을 하였습니다. 따라서 이 전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던 형상관리도구 Git, Git-hub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 따라서, 여러명이서 코드 관리 하는데에는 형상관리도구의 필요성을 느꼈고 팀 프로젝트에 git을 활용해보며 사용하는 이유와 사용법에 대해 알게 되었습니다. 저희가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git의 필요성을 가장 크게 느꼈던 사례가 있습니다...
안녕하세요! 오늘은 제가 팀 프로젝트에서 지도 API를 이용해 개발하였는데 그때의 기억을 기반으로, 지도 API 중 어떤 지도 API를 선택하였고, 그 이유에 대해 다뤄보려합니다. 국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지도 API로 네이버와 카카오 이 두개가 대표적으로 사용됩니다. 그 이유는 구글은 해외 지도가 필요한 서비스에는 적합할지 모르지만, 현재 한국 지도는 비교적 제한적으로 서비스하고 있기에 국내 서비스만을 계획하고 있을 때는 구글 맵 지도는 좋은 조건이 아니라고 생각이 들었기 때문입니다.맵의 용도가 다른 만큼 제작하는 서비스에 따라 잘 비교해보고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! 따라서, 저는 web을 통해 국내 지도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젝트를 만들기 때문에 네이버 지도와 카카오 지도를 비교하게 되었습니다...